- 인천 산단 휴‧폐업, 국가산단 2곳 474개‧일반산단 11곳 365개…연평균 250개

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(국회 산자중기위, 인천동구미추홀구갑)이 한국산업단지공단과 인천시로부터 받은 ‘인천 지역 산업단지 휴·폐업 현황’ 자료에 따르면, 2021년부터 올해 7월까지 국가산단(2곳) 474개, 일반산단(11곳) 365개 등 모두 839개 기업체가 휴‧폐업한 것으로 집계됐다. 연평균 약 250개 기업체가 잠시 가동을 중단하거나 문을 닫고 있는 것이다.
단지별로 보면 남동산단이 329개 가장 많았고 ▲인천지방산단 171개 ▲한국수출산단(주안·부평) 145개 ▲뷰티풀파크(옛 인천검단) 115개 ▲송도지식정보산단 31개 순이었다.
국가산단의 경우 2023년 부침이 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. 남동산단과 한국수출산단(주안‧부평) 내 휴‧폐업 기업체수가 각각 129개, 66개로 전년 대비 약 2배 이상 늘어났다.
일반산단의 경우 올해 역대 최고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. 7월 현재까지 휴‧폐업 기업체수가 126개로 7개월 만에 지난해 규모(101개)를 뛰어넘었다.
이 가운데 미추홀구 도화동, 서구 가좌동 일원 인천지방산단과 서구 검단 뷰티풀파크의 휴‧폐업수가 각각 53개, 41개로 파악됐다. 일반산단 전체 휴‧폐업수의 93%에 달하는 수치다.
1973년에 준공한 인천지방산단은 지원시설과 녹지구역이 턱없이 부족한 노후산단으로 꼽힌다. 반면, 2006년에 준공한 뷰티풀파크는 지원시설‧공공시설‧녹지구역 등 기반시설이 비교적 잘 조성된 곳이어서 휴‧폐업 관련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.
3년여동안 31개 기업체가 휴‧폐업한 송도지식정보산업단지도 눈길을 끈다. 2000년~2011년에 송도국제도시 2,4공구에 조성됐는데, 매년 경우 7~8개 기업이 휴‧폐업 대열에 나서고 있다.
노후산단으로 꼽히는 인천기계산단(3년여간 휴‧폐업 기업체 15개)과 도심지와 떨어져 있는 강화일반산단(″ 9개)보다 많다.
노후산단에 대한 구조고도화 사업이 필요한 가운데 입지가 좋은 편에 속하고, 기반시설이 잘 갖춰진 일부 산단의 휴‧폐업수가 많은 점에 대한 분석과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.
허종식 의원은 “산업단지는 기업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근원”이라며 “정부와 인천시가 산업단지 휴‧폐업공장에 대한 실태조사 및 리모델링 사업 등에 적극 나서, 산단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근로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”이라고 말했다.